고양이를 입양해서 집안에서 키우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고양이에 맞게 고양이 친화적인 거주공간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일부 사람에게 필요한 것들을 포기해야 하는 부분도 있으니 좋은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첫번째, 안전한 공간의 인식
고양이를 집으로 데리고 오기 전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안전하고 조용한 공간을 마련해주는것이 중요합니다.
고양이는 영역동물이기 때문에 새로운 곳에 대한 경계심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하고 편하다고 느끼면서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음식, 물, 화장실 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두번째, 위험한 물건 치우기
고양이는 천성적으로 호기심이 많기 때문에 위험한 물건들은 미리 치우거나 닿지 못하도록 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독성 식물이나 화학 물질, 삼킬 수 있는 작은 물건, 넘어질 수 있는 깨지기 쉬운 물건 등 위험한 물건을 제거하거나 안전하게 보관하세요.
*세번째, 고양이 전용 화장실
화장실은 조용하고 접근하기 쉬운 장소를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
대부분의 고양이들은 사생활 보호를 선호하기 때문에 너무 개방된곳이나 수시로 사람이 돌아다니는 곳은 피하는 것이 좋고 사료나 물 그릇을 화장실 근처에 두는 것도 피하는게 좋습니다.
*네번째, 스크래쳐
고양이는 사냥과 영역표시의 본능을 위해 발톱을 가는 일명 스크래쳐라는 행동을 평생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스러운 행동은 사람에게 있어서 가구에 손상을 주고 소파나 의자 등의 훼손을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따라서 충분히 본능에 충실할 수 있도록 다양한 스크래쳐를 배치해 줘야 이러한 트러블을 줄이거나 없앨 수 있습니다.
*다섯번째, 전기 코드 숨기기
강아지와 마찬가지로 고양이들도 줄을 씹을 수 있는데, 전기 코드나 전선의 보호와 반려동물의 안전을 위해 손이 닿지 않는 곳으로 집어넣어야 합니다.
*여섯번째, 방범창 및 안전망
호기심이 많은 고양이들은 외부에 대한 경계와 함께 탐험 의식도 상당히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외부로 도망쳤다면 스스로 돌아오거나 사람이 직접 찾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에 애초에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관리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일곱번째, 캣타워 및 캣워커
고양이들은 높은 곳에 오르고 관찰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탐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캣타워나 캣워커 같은 호기심과 모험심을 충족시켜 줄 도구들을 준비해주는것이 좋습니다.
*여덟번째, 합사
만일 가정에 다른 고양이나 반려동물이 있다면, 새 고양이에게 서서히 소개시켜 주는 합사 과정이 필요합니다.
앞서 말씀드린바와 같이 고양이는 독립적이고 영역을 구축하는 습성으로 인해 자신의 영역에 다른 동물이 있는 것을 크게 경계합니다.
따라서 조금씩 냄새를 인식시키고 서서히 마주치게 함으로써 함께 살아가는 가족임을 적응시켜야합니다.
쉽지 않은 과정이며 때로는 합사가 실패할 경우도 있으니 조심스럽게 접근하는것이 중요합니다.
*아홉번째, 먹이와 물
정기적인 급식 주기 일정을 정하고 나이, 품종, 건강에 적합한 양질의 고양이 사료를 선택하는것이 좋습니다.
때론 스스로 먹이의 양을 조절 할 수 있는 경우 자율급식을 시켜도 좋습니다.
또한 물은 항상 신선하고 깨끗한 물을 제공하는것이 좋습니다.
고양이는 고여있는 물 보다 흐르는 물을 선호하기에 고양이 식수용 분수를 설치하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열번째, 고양이 장난감
고양이들은 정신적, 육체적 자극이 필요하며 이를 호기심과 모험을 통해 해소합니다.
특히 어린 나이 일 수록 활동성과 호기심이 왕성하여 다양한 장난감을 제공해 에너지를 해소시켜주는것이 중요합니다.
반면 나이가 많아 질수록 활동성이 적어지며 장난감에 대한 호기심도 줄어들어 놀이에 크게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자신의 고양이의 나이를 고려해서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고양이 STORY > 고양이 야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화장실 배변훈련과 준비, 관리요령 (0) | 2023.09.25 |
---|---|
고양이 행동 이해하기 : 고양이와 신뢰 쌓기 (0) | 2023.09.20 |
고양이를 키우기 전 꼭 확인해 봐야 할 고려사항 (1) | 2023.09.18 |
고양이 Q&A : 새끼 고양이가 변을 안봐요 (0) | 2016.03.23 |
고양이와 관련된 용어 정리 2탄 (0) | 2016.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