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양이 STORY/고양이 야옹

고양이 헤어볼 원인과 문제 그리고 조치방법

by 냥냥댕댕펀치 2023. 10. 25.

헤어볼은 고양이를 키우는 모든 집사들의 공통적인 관심사입니다. 그러나 헤어볼은 고양이들의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 고양이들이 스스로 그루밍을 하며 털을 정돈 할 때, 느슨한 털을 섭취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털이 위에 축적되어 헤어볼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것들이 쌓이면 다시 배출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런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헤어볼의 원인과 문제, 조치방법에 대해 기억한다면 고양이와 함께 더 행복한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첫번째, 헤어볼의 원인
- 고양이들은 꼼꼼한 사냥을 통한 음식 섭취 후 다음 사냥을 위해 흔적을 지우려는 습성이 있습니다. 이렇게 스스로 손질을 하는 것을 그루밍이라 하는데 이를 위해 혀를 사용합니다. 이때 죽은털이나 헐거워진 털이 입 속으로 들어가 위장에 쌓이게 되며 헤어볼을 형성합니다.
- 그리고 계절에 따라 털이 더 많이 빠지는 시기가 있는데 이때에는 더 많은 헤어볼을 형성하게 됩니다. 그 계절은 일반적으로 봄과 가을이며 자연스러운 이러한 현상은 생물학적 리듬에 따른 것으로, 봄에는 온도가 올라가면서 겨울 동안 쌓인 털을 떨어뜨리고, 가을에는 겨울에 준비를 시작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계절에는 헤어볼이 더 많이 생기게 됩니다.
- 고양이 품종에 따라 털이 더 많이 빠지는 품종이 있는데 대부분 장모를 갖고 있는 개체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페르시안과 메이쿤, 샴, 랙돌이 있으며 이러한 품종일수록 주기적인 손질을 해줘야 합니다. 물론 품종과 상관없이 환경이나 건강, 식단 등에 따라 패턴이 다를 수 있으니 유의해야합니다.


두번째, 헤어볼로 인한 문제
앞서 언급했듯 헤어볼이란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상 문제도 있습니다.
- 위장에 헤어볼이 있으면 위장관을 자극하여 구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 때 털 뿐만 아니라 위에 있는 모든 음식물을 게워낼 수 있습니다.
- 어떤 경우에는 헤어볼이 소화간의 부분적인 막힘으로 이어져서 구토를 유발하기도 하며 소화기관을 통한 정상적인 음식물의 이동을 방해할 수 하여 소화문제를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근본적인 위장 문제를 가진 고양이의 경우 더 잦은 구토를 할 수 있습니다.
- 고양이가 기침 등의 흔적 없이 소화되지 않은 음식을 게워내고 있다면 역류증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이 경우 식도나 삼키는데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만일 단발성이 아닌 지속적으로 음식과 헤어볼을 모두 게워내고 이러한 경우가 자주 일어난다면 건강상의 문제와 함께 탈수증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수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세번째, 조치방법
자연스러운 현상을 근본적으로 막거나 할 순 없지만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는 있습니다.
- 빗질을 통해 죽은 털들을 미리미리 제거해주면 위로 넘어가는 털의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 장모의 개체일수록 특히 중요하며, 주기적인 빗질이 중요합니다.
- 헤어볼 형성을 조절하도록 고안된 사료나 영양제 등 다양한 전문 식단을 통해 소화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분 섭취는 털이 소화 기관을 수월하게 지나가는 것을 돕습니다. 따라서 고양이 음수량에 신경을 써야합니다.
캣 글라스와 같은 풀은 고양이가 고양이의 구토를유발하면서 스스로 헤어볼을 없애는 것을 돕는 안전하면서도 자연스러운 방법입니다.
- 특히 고양이가 스트레스를 받을 때 더 많은 그루밍을 할 수 있으며 이는 털의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차분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해 주는것이 중요합니다.

 

 

고양이를 키우기 전 꼭 확인해 봐야 할 고려사항

새 고양이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물

고양이 행동 이해하기 : 고양이와 신뢰 쌓기

고양이 화장실 배변훈련과 준비, 관리요령

고양이 털관리, 건강관리 방법 요점정리

고양이 합사 방법과 주의사항

고양이를 위한 놀이와 운동의 중요성

고양이 행동 훈련과 팁

집사의 딜레마, 고양이 알레르기와 대처방법

고양이에게 중요한 필수 영양소

고양이 노화증상 체크하기 part.1(털, 눈, 활동)

고양이 노화증상 체크하기 part.2(치아, 배변, 울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