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 보면 고양이에게 해로운 실물과 꽃에 대해 다양한 정보들을 교류하고 있으며, 특히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향제에 대해서도 여러 질문들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일부 꽃이나 식물 그리고 방향제는 고양이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기에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첫째, 백합
백합과 백합과의 속은 알칼로이드라고 불리는 독소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물질들은 고양이의 신장에 매우 독성이 심하기 때문에 털에서 꽃가루를 핥거나 백합이 들어있는 꽃병에서 물을 마시는 것과 같은 작은 섭취조차도 심각한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백합 독성의 초기 징후로는 구토, 무기력, 식욕 부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양이가 백합과 접촉한 것으로 의심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동물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종류의 백합이 고양이에게 독성을 갖고 있지만 그 중 일반적인 품종 몇가지를 살펴보겠습니다.
흰나리(Lilium longiflorum) : 가장 흔히 보는 백합.
참나리(Lilium lancifolium 또는 Lilium tigrinum) : 독특한 오렌지 색과 어두운 점이 특징.
원추리 속(Hemerocallis spp.) : 진짜 백합은 아니지만, 고양이에게는 해로움.
산나리(Lilium asiatica) : 꽃꽂이에 자주 사용되는 알록달록한 백합.
스타게이저(Lilium orientalis) : 향기롭고 다양한 색깔이 존재.
일본나리(Lilium speciosum) : 트럼펫 모양이 특징.
두번째, 진달래
- 진달래는 고양이와 개 모두에게 독성이 있는 그레이아노톡신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독소들은 구토, 설사, 침 흘리기, 무기력을 포함한 다양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고, 심할 경우 심혈관 문제와 같은 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꽃, 잎, 줄기를 포함한 진달래 식물의 모든 부분을 섭취할 경우 독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고양이가 진달래와 접촉했거나 특이한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의심된다면 즉각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
세번째, 튤립
- 튤립은 고양이에게 독성이 있을 수 있는 알칼로이드성분인 튤립닌 A(tulipalin A)와 튤립닌 B((tulipalin B)라고 불리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이 독소들은 잎과 꽃, 줄기에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튤립 식물의 어느 부분이든 섭취하면 고양이에게 독성의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튤립닌 A는 소화계에 문제를 일으켜 구토와 설사, 복통, 식욕부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튤립닌 B는 소화계 뿐 아니라 신경꼐에도 영향을 줘서 신경과민이나 근육 경력, 심장 박동의 불규칙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고양이가 튤립을 섭취했다고 의심되면 신속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네번째, 수선화
- 수선화 또한 유독한 알칼로이드를 포함하고 있는데, 주로 구근부에 있지만 식물의 다른 부분에도 있습니다. 리코린과 같은 알칼로이드는 고양이가 섭취할 때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수선화 독성의 일반적인 징후로는 구토, 설사, 침 흘리기, 복통, 그리고 심할 경우 심장 부정맥이나 호흡곤란이 있습니다.
- 구근부인 줄기에 많이 위치하고 있지만 수선화의 전체적으로 포함되어 있으니 관심이 필요하며, 역시나 고양이가 섭취를 하거나 이로인해 의심 증상이 보인다면 조기에 발견하여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실수로 접할 수 있는 고양이에게 위험한 식물과 꽃에 대해 알아봤고, 다음 시간에는 식물이나 꽃보다 더 쉽고 흔하게 실수 할 수 있는 디퓨저가 고양이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고양이 노화증상 체크하기 part.1(털, 눈, 활동)
'고양이 STORY > 고양이 야옹'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 사료 선택할 때 고려할 사항 (0) | 2023.11.27 |
---|---|
고양이에게 디퓨저(방향제)는 괜찮을까? (3) | 2023.11.22 |
고양이에게 해로운 음식들과 그 위험 요소는? (1) | 2023.11.09 |
고양이에 대한 편견과 오해 그리고 진실. (1) | 2023.11.07 |
고양이 중성화는 꼭 필요할까? 이유를 알아보자. (0) | 2023.11.02 |